기사 읽고 전시회 초대권 받자!

‘한국의 산사’ 7곳 세계유산 등재

도재기 선임기자
충남 공주 마곡사

충남 공주 마곡사

경남 양산 통도사

경남 양산 통도사

경북 영주 부석사

경북 영주 부석사

아름다운 산세와 어우러진 한국의 전통사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됐다.

전통사찰 7개로 구성된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이하 한국의 산사)의 등재로 한국은 모두 13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문화재청은 “바레인 마나마에서 열리고 있는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산사’가 세계유산으로의 등재가 확정됐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이번에 등재된 한국의 산사는 경남 양산 통도사, 경북 영주 부석사, 충북 보은 법주사, 전남 해남 대흥사, 경북 안동 봉정사, 충남 공주 마곡사, 전남 순천 선암사 등 전국의 7개 사찰로 구성됐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이날 ‘한국의 산사’가 지니고 있는 창건(7~9세기) 이후 현재까지의 지속성, 한국 불교의 깊은 역사성이 세계유산 등재 조건인 탁월한 보편적 기준(OUV·Outstanding Universal Value)에 해당한다고 평가했다.

경북 안동 봉정사

경북 안동 봉정사

전남 순천 선암사

전남 순천 선암사

봉정사와 마곡사, 선암사는 이번 등재에서 제외될 뻔했으나 등재에 성공했다. 이들 3개 사찰은 유네스코 자문·심사기구로 세계유산 후보를 사전 심사하는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하 이코모스)가 지난 5월 다른 사찰들과 달리 역사성 부족 등을 이유로 ‘등재 권고’를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날 오후(현지시간) 등재 결정 논의 과정에서 중국이 7개 산사 모두를 등재할 것을 제안하고, 동조 발언이 이어지면서 결국 전체 위원국의 지지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산사 중 4개 사찰은 이날 등재 결정에 앞서 진행된 이코모스의 심사에서도 이미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기도 했다. 전통사찰들이 한국 불교의 전통을 이어 신앙과 수도·생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종합 승원이란 점이 높이 평가된 것이다.

전남 해남 대흥사

전남 해남 대흥사

충북 보은 법주사

충북 보은 법주사

세계유산위원회는 이날 등재를 결정하면서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산사 내 건물 등에 대한 관리방안 등 4가지를 요구했다. 문화재청은 “세계유산위원회의 요구는 비지정 문화재까지 포함해 산사 내 모든 구성요소들에 대한 보다 강력한 보존과 보호관리를 주문한 것으로 해석된다”며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사항을 충실히 수행해 세계문화유산적 가치가 잘 유지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의 산사가 등재되면서 한국은 ‘백제역사유적지구’의 등재 이후 3년 만에 또다시 세계유산을 추가, 모두 13건을 보유하게 됐다.


Today`s HOT
정부 원주민 정책 비판하는 뉴질랜드 시위대 타히티에서 서핑 연습하는 서퍼들 뉴욕 법원 밖 트럼프 지지자들 중국-아랍국가 협력포럼 개최
abcd, 스펠링 비 대회 셰인바움 후보 유세장에 모인 인파
의회개혁법 통과 항의하는 대만 여당 지지자들 주식인 양파 선별하는 인도 농부들
남아공 총선 시작 살인적 더위의 인도 이스라엘 규탄하는 멕시코 시위대 치솟는 아이슬란드 용암 분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