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고 전시회 초대권 받자!

남편들이여, 아내를 위해 추석 때 가족에게 이 만화를 권해보시라

위근우 칼럼니스트

웹툰 ‘며느라기’

웹툰 ‘며느라기’ 제사 편(인스타그램 캡처)

웹툰 ‘며느라기’ 제사 편(인스타그램 캡처)

이번 추석 연휴에 민사린에겐 어떤 속 터지는 일이 벌어질까. 아, 만화 이야기다. 웹툰 혹은 출판 플랫폼이 아닌 주인공 개인 계정처럼 꾸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으로 연재되며 수많은 기혼 및 비혼 여성들에게 공감을 얻고 남성 독자들에겐 배움을 주는 만화 <며느라기>엔 아직 신혼인 부부 민사린과 무구영이 등장한다. 대학 때 꽤 친한 동기였고, 졸업 후 우연히 만나 연애를 시작한 이 둘은 말도 잘 통하고 서로에게 이성적인 매력도 느끼는 꽤 괜찮은 커플이다. 물론 단둘의 관계에서만.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며느라기>는 결혼한 사린이 자연스럽게 시댁의 일원이자 외부인으로서의 며느리로 겪는 다양한 불합리한 순간들을 고발한다. 그는 가족의 새로운 일원으로서 시어머니 생일 아침상을 차리지만 시어머니와 시아버지, 구영, 그리고 시누이의 대화에서는 소외된다. 가족 일원으로서 자신과 피가 섞이지 않은 조상의 제사에 쓸 전을 부치지만, 전을 부치는 그와 가족끼리 모여 술 한잔 하는 구영과의 거리는 좁혀지지 않는다.

물론 <며느라기>에 나오는 며느리로서 겪는 부당한 일의 목록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당장 지금 같은 추석 언저리 즈음 SNS나 커뮤니티에선 명절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기혼 여성들의 분노에 가득 찬 언어를 확인할 수 있다. 명절 당일뿐 아니라, 집안 남자들끼리만 모이는 벌초에까지 기어코 배우자를 끌고 가는 남자의 사연처럼 <며느라기>의 그것보다 더 화나고 어떤 면에선 엽기적인 사례들도 종종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의 갑갑한 사연이 쌓이고 쌓여 <며느라기>의 서사적, 당위적 기반이 되었겠지만, 그럼에도 이 작품은 몰상식한 시댁을 악마화하거나 소위 고구마 먹듯 답답한 사연을 줄줄이 전시하진 않는다.

사린의 시어머니는 밖에서 나가 먹는 것보다 집에서 먹는 게 편하고 좋지 않으냐는 시아버지에게 집에서 먹는 건 하늘에서 떨어지느냐고 핀잔을 줄 정도의 상식을 갖춘 사람이고, 제사 음식 때문에 일찍 찾아온 사린에게 그냥 저녁에 오지 그랬냐고 말해줄 정도의 자상함을 갖춘 인물이다. <며느라기>가 보여주는 건 어떤 이상한 가족의 상상하기도 싫은 몰상식함이 아니다. 오히려 한국의 생활세계 안에서 상식이자 인륜으로 통용되는 따뜻한 풍경 안의 구조적 폭력성을 까발리는 것이 <며느라기>의 성과다.

이제 독자들에겐 천하의 답답하고 몹쓸 놈이 되어버린 구영이 현실에서 따져보면 상위 10~20%에 속할 남자라는 사실은 상당히 재밌고도 중요한 지점이다. 대학 시절에도 묵묵히 자기 자리를 지키며 사린에게 믿음직한 인상을 남겼던 그는, 사린이 회사에서 이루는 성과들에 진심으로 기뻐해줄 줄 알고(후려치는 남자들이 얼마나 많은가), 제사 때 사린을 챙기지 못한 것에 대해서도 사과하며(그게 왜 잘못인지 모르는 남자들이 더 많다), 사린의 어머니를 챙길 줄 아는 싹싹하고 예의바른 사위이기도 하다(서로 각자의 부모님께 잘해주자는 말을 할 최소한의 근거는 된다). 그리고 역시나, 혹은 하필, 효자다.

[위근우의 리플레이]남편들이여, 아내를 위해 추석 때 가족에게 이 만화를 권해보시라

사린은 연애 시절, 사린이 자신의 어머니와 백화점에서 같이 쇼핑도 하고 찜질방도 가면 좋겠다는 구영의 말에 왜 본인도 안 하는 걸 남이 해주길 바라느냐고 쏘긴 했지만, 자신의 어머니에게 구영이 ‘완전 효자’인 듯하다고 전한다. 왜 효자가 직접 어머니와 함께 쇼핑하고 찜질방 가는 건 안 하느냐는 근본적인 질문은 차치하더라도, 꽤 좋은 인성을 가진 인간이 자신의 부모님에 대한 은혜를 잊지 않는 건 당연한 것처럼 보인다. 그런 면에서 효는 인격적 미덕이다. 하지만 또한 효는 가부장제를 유지시키는 마지막 보루다. 사회학자인 서강대학교 김경만 교수가 저서 <진리와 문화변동의 정치학>에서 서구적 합리성을 기준으로 타인을 설득하는 것의 불가능함을 증명하기 위해 한국 효 문화의 비합리성을 반박하는 게 가능한지 사고실험을 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 효는 한국의 생활세계를 지탱하는 인륜인 동시에 구조적 폭력의 일부다. 이것이 <며느라기>에서 그려내는 선의로 이뤄진 진흙탕의 본질이다. 구영과 그의 가족들은 효와 자식에 대한 사랑과 공동체 의식처럼 각각의 미덕을 재료로 가부장제라는 구조를 강화하며 서로가 서로를 구속한다. 하지만 멀리서 보면 모두가 가부장제의 피해자라는 결론은 안일하다. 모두가 공범이 되는 이 구조적 폭력 안에서 당연히 폭력의 피해자는 존재한다. 그것이 민사린이며, 만화 바깥에 있는 수많은 며느리다.

작품의 중간 에피소드에서 다른 등장인물의 입을 통해 밝혔듯, <며느라기>라는 제목은 며느리를 뜻하는 며늘아기를 소리 나는 대로 쓴 말이 아닌, “시댁 식구에게 예쁨 받고 싶고 칭찬 받고 싶은” 시기로서의 ‘며느라期’다. 앞서 인륜이자 구조적 폭력으로서의 효를 이야기하기도 했지만, 구조는 언제나 규범의 내면화를 통해 존속된다. 심지어 구조에 의해 착취되는 입장 역시 그러하다. 자기 어머니 생일 아침에 미역국을 끓여주면 좋아할 거라는 시누이의 메시지에 고개를 끄덕이는 사린을 보며 잘못 끼운 첫 단추의 불길함을 느끼기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만화는 그러니까 이 사달엔 며느리의 책임도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보단 규범의 내면화를 통해 어떻게 착취가 정당화되는지, 그리고 사실 이 구조는 누군가에 대한 착취를 통해 존속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이 구조적 악순환을 끊어낼 의무는 누가 져야 하는가. <며느라기>의 독자가 그러하듯, 사린 역시 조금씩 자신의 ‘며느라期’를 인식하며 성찰하기 시작하지만, 이 잘못된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낼 의무가 사린에게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위근우의 리플레이]남편들이여, 아내를 위해 추석 때 가족에게 이 만화를 권해보시라

<며느라기>에서 거의 유일하게 시댁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워 보이는 사린의 동서 정혜린은 분명 매력적인 개인주의자이자 기혼 여성들의 이상에 가깝다. 하지만 더 많은 여성들이 혜린처럼 되길 바라는 것과 별개로 현재의 문제들을 여성들이 혜린처럼 되어야 해결될 듯이 이야기한다면, 문제 해결의 책임을 피해자인 그들에게 미루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사린을 비롯한 기혼 여성들이 주체적으로 며느리의 자리를 거부하는 것과는 별개로, 이 구조를 반성하고 해체할 도덕적 의무와 책임은 결국 가부장제와 그 착취 구조의 최대 수혜자인 남성들에게 있다. 자신의 가족을 변화시키든가, 그럴 자신이 없으면 철저히 자기 선에서 가족의 간섭을 차단할 정도의 결기가 필요하다. 적어도 자신이 파트너와 이룬 작은 공동체를 유지하고 싶다면. <며느라기>가 작품 안에서 증명하는 것은 이거다. 이 일상에 스민 부조리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건 선의도 아니고 온정주의도 아닌 용기와 결단이라는 것. 그 첫 출발로 남성들은 <며느라기>를 읽어보는 것은 물론 추석에 모인 가족들에게 이 탁월한 작품을 모르는 척 슬쩍 권유해보는 건 어떨까. 그리고 읽은 이들은 만화에서 주의시켰듯 “혹시 우리 집도 이래?”라고 물어보지 말자. 그걸 이제 와서 질문한다는 사실에 이미 답이 숨어 있으니까.


Today`s HOT
정부 원주민 정책 비판하는 뉴질랜드 시위대 타히티에서 서핑 연습하는 서퍼들 뉴욕 법원 밖 트럼프 지지자들 중국-아랍국가 협력포럼 개최
abcd, 스펠링 비 대회 셰인바움 후보 유세장에 모인 인파
의회개혁법 통과 항의하는 대만 여당 지지자들 주식인 양파 선별하는 인도 농부들
남아공 총선 시작 살인적 더위의 인도 이스라엘 규탄하는 멕시코 시위대 치솟는 아이슬란드 용암 분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