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고 전시회 초대권 받자!

‘촉수엄금, 짬찌’···군인이 뽑은 순화 필요한 언어

고희진 기자

군인들이 순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군대 내 언어로 ‘촉수엄금’, ‘불입’, ‘짬찌’ 등이 꼽혔다.

한글학회는 오는 13일 서울시청 시민청에서 여는 국어학 학술대회에서 박재현 상명대 국어교육과 교수가 군대 은어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한다고 8일 밝혔다.

박 교수는 군대 은어 26개와 낯선 한자어 12개를 선정해 군인들에게 사용빈도와 개선 필요성, 순화어의 수용 가능성에 관해 물었다. 조사 결과, 군인들이 가장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낀 단어는 손대는 것을 엄격히 금한다는 뜻의 ‘촉수엄금’이었다. 이어 납부를 뜻하는 ‘불입’, 신병이나 계급이 낮은 군인을 부르는 ‘짬찌’가 선정됐다. 불빛 가리기를 의미하는 ‘등화관제’와 빈 병을 가리키는 ‘공병’을 꼽은 이들도 많았다.

‘촉수엄금’과 ‘불입’은 순화어 수용 가능성 순위에서도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다수의 군인들이 이 같은 단어를 ‘손대지 마십시오’와 ‘납부’ 같은 말로 대체하는 것에 찬성한다는 뜻이다.

반면 방한 내피인 ‘깔깔이’, 봉지 라면을 뜻하는 ‘뽀글이’, 전역 대기병을 지칭하는 ‘말년’은 개선 필요성과 순화어 수용 가능성 수치가 모두 낮았다. 군인들은 ‘뺑이 치다’를 개선해야 할 은어로 인정하면서도 순화어로 제시된 ‘고생하며 힘든 일을 하다’가 의미상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군대 은어는 무엇을 지칭하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어 의사소통의 혼란을 초래하고,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소외시킬 수 있다”며 “상대를 낮춰 부르는 의미가 포함된 군대 은어의 사용은 그 자체로 폭력이 될 수 있다. 국방부는 국립국어원 등 국어 관련 기관과 낯선 한자어, 번역투 표현, 은어 등을 정비하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경향신문 자료 사진

경향신문 자료 사진


Today`s HOT
정부 원주민 정책 비판하는 뉴질랜드 시위대 타히티에서 서핑 연습하는 서퍼들 뉴욕 법원 밖 트럼프 지지자들 중국-아랍국가 협력포럼 개최
abcd, 스펠링 비 대회 셰인바움 후보 유세장에 모인 인파
의회개혁법 통과 항의하는 대만 여당 지지자들 주식인 양파 선별하는 인도 농부들
남아공 총선 시작 살인적 더위의 인도 이스라엘 규탄하는 멕시코 시위대 치솟는 아이슬란드 용암 분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