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삶

사익보다는 공익…높이 관리로 경관 보호, 매력적인 도시를 만들기 위함이다

김향미 기자

누구를 위한 높이인가

박현찬·정상혁 지음 |서울연구원 | 192쪽 | 1만3000원

[책과 삶]사익보다는 공익…높이 관리로 경관 보호, 매력적인 도시를 만들기 위함이다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의 높이는 35층으로 묶여 있다. 이 높이에 대한 규제를 두고 연일 부동산 뉴스가 쏟아져 나온다. 50층 이상으로 그 높이를 뛰어넘고 싶은 쪽에서는 “재산권 제약” “획일적인 높이 규제”라고 비판한다. 이 책에선 “높이를 규제하는 것은 도시의 경관이 개인보다는 그 안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 모두의 것이라는 공공성에 가치를 두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저자들은 35층보다 높게 지어야 재건축 사업의 수익성이 높아진다는 사실도 인정하지만, 그것을 수용했을 때 서울의 스카이라인이라는 공공성은 해치게 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왜 ‘35층’일까. 땅의 용도상 주거지역이고, 법에서 허용한 용적률·건폐율 등을 따져보면 최대 높이는 35층이 된다. 이 규제는 “35층으로 (획일적으로) 지어야 된다”가 아니라 “35층보다는 높게 지어서는 안된다”는 의미다.

이 책에선 도시 경관 관리의 중요성과 그 방법에 관해 해외 도시 사례를 소개한다. 도시 경쟁력이란 말 안에는 ‘경관’도 포함된다.

아름다운 경관은 사는 사람에게도 즐거움이지만, 관광객들에게도 매력적인 것이 된다. 1930년대 이후 같은 경관을 유지해온 그리스 산토리니의 예가 그렇다. 미국 뉴욕의 상업지역인 맨해튼은 초고층 빌딩들로 가득 차 있지만, 뉴욕의 북쪽 브롱크스 주거지역에선 공동주택 높이가 14층 안팎으로 제한된다. 서울도 땅의 용도별로 규제가 다르다.

높이에 대한 열망은 ‘조망’이라는 가치와 연관돼 있다. 조망 좋은 집에서 살고 싶다는 개인의 바람을 탓할 수 없고, 공공의 기준이 최상의 경관을 만든다고 확언할 수도 없다. 다만 저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만약 초고층의 조망권을 주장한다면 주변 사람들이 초고층 아파트의 답답함을 조망하지 않을 권리도 함께 생각해봐야 한다.”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