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꽁 얼어붙은 소비심리'…서울 주요 상권 위축

부동산
홈 > CLUB > 부동산
부동산

'꽁꽁 얼어붙은 소비심리'…서울 주요 상권 위축

    
  63254_7002_2823.jpg  
 

소비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서울 주요 상권이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 소재 상가 평균 임대료는 ㎡당 3.37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평균인 3.36만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매출 감소로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한 세입자들이 저렴한 매물을 내놓으며 국지적으로 임대료 하향조짐이 보였다. 유동인구가 꾸준한 상권에서는 높은 임대료의 매물이 출시돼 전체 임대료는 전분기 수준에서 크게 움직이지 않았다.

여의도 등 오피스 밀집 상권은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 시행 이후 대형 점포 매물이 증가하는 모습이다. 아직 임대료는 하락하지 않았으나 새해에도 소비경제 위축이 지속된다면 임대료 하락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지역별로 강남권역은 중국인 관광객 감소의 영향으로 △강남역(-6.1%) △압구정역(-1.4%) △신사역(-1.4%)의 임대료가 하락했다. 반면 상주수요가 탄탄한 △삼성역(3.4%)은 올랐다.

도심권역은 촛불시위로 인한 유동인구 증가로 광화문(1.4%)의 상가 임대료가 올랐다. 종로5가(1.9%)도 상승세다. 그러나 촛불시위 영향으로 동선이 차단된 △종로3가(-2.9%) △종각(-8.3%) 등은 임대료가 떨어졌다.    

신촌 마포권역에서는 △상수(9.8%) △이화여대(4.2%) △신촌(2.0%) △연남동(1.2%)이 상승했고 △홍대(-2.1%) △합정(-7.1%) △상암DMC(-13.1%) 상권의 임대료가 하락했다.

영등포권역은 △영등포역(-14.6%) △영등포시장역(-10.7%) △여의도역(-7.4%) 순으로 하락했다. 여의도 공인중개업계에 따르면 김영란법 시행 이후 한정식, 일식당 등 대형 점포 매물이 증가했으며 권리금 선에서 임대조건이 조정되는 분위기다. 

신도시에서는 분당의 상권 임대료가 △수내(2.7%) △정자(2.2%) △판교(-1.2%) △야탑(-2.4%) △미금(-6.0%) △서현(-9.8%) 순으로 변동했다.

일산에서는 대화(13.2%)를 제외한 △백석(-4.8%) △화정(-5.3%) △정발산(-7.7%) △마두(-12.7%) △주엽(-12.5%) 등이 하락했다.   

0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201 명
  • 오늘 방문자 2,937 명
  • 어제 방문자 5,004 명
  • 최대 방문자 5,340 명
  • 전체 방문자 1,685,344 명
  • 전체 게시물 382,607 개
  • 전체 댓글수 29 개
  • 전체 회원수 7,076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